top of page

Souvenirs without Monuments
HYPERSPANDREL

28 October - 11 November, 2022

기획의 글 

 

<기념비 없는 기념품>

[기념비: 어떠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

[기념품: 어떠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물체]

 

“기념비 없는 기념품”은 떠돌이 신진 건축가의 팝업 플래그십 보따리상이다. 이는 하이퍼스팬드럴이 지난 활동을 바탕으로 생겨난 건축물의 본질과 건축적 소비에 대한 #고뇌, #짜릿함, #반항심, #희열, #스트레스들을 표출하는 기념품들이다.

 

전시장 속 널브러진 물건들은 마치 보따리 상인의 좌판에 놓인 잡동사니 같아 보이고, 벽에 걸려있는 액자 속 경력 들은 먹자골목 국밥집의 간판들을 연상시키고, 또한 한편에 자리 잡은 창덕궁을 개발한다는 팻말은 분양 사기극을 떠올리게 해 경계심을 유발한다. 게다가 반복적으로 울려 퍼지는 메아리 같은 저 돌림노래는 또 뭐지…? 이런 실태 없어 보이는 잡동사니들은, 일종의 발버둥이면서도, 건축물이 건물이 아닌 더 다양한, 심지어 가상의, 매체로 대체됐을 때 가능한 건축적 행위와 소비 방식을 상상해 본다. 이 개념의 논리 구상은 다음과 같다:

 

  1. 기념품과 기념비의 구분은 생각보다 모호하다. 기념품과 기념비의 차이는 물체의 크기인가? 전시장에 놓인 미니어처 에펠탑을 카메라로 찍어보자. 잘만 찍으면 당신이 파리에서 직접 경험하는 것처럼 찍을 수 있을 것이다. 건축가가 모형을 만드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도면과 모형 등으로 충분히 건물의 경험을 연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제품들이 충분히 에펠탑의 경험을 재현할 수 있다면, 잡상인들이 파는 싸구려 플라스틱 모형과 무슨 차이가 있을까? 크기에서 나오는 특유의 속성은 있겠다만, 건물은 거대한 인형의 집과 같은 또 다른 기념품이다.

 

  1. 크기가 기준이 아니라면, 기념품과 원형의 차이인가? 잡상인이 파는 싸구려 에펠탑 모형은 건물이 지어진 후 제작된 “짭”이기 때문에 기념품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건축가가 만드는 모형은 건물이 지어지기 전 제작됐지만, 마찬가지로 건물이 지어져야만 가치가 생긴다. 에펠탑이 없었으면 기념품들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고, 건축가의 모형도 건물이 지어지지 않으면 그저 이루어지지 않은 과정의 일부로 사라진다. 순서의 문제가 아닌 것 같다. 웃기게도, 저명한 건물이 지어지면 결국 기념품 샵에선 건축가의 모형을 본 딴 키 체인과 도면집 포스터가 기념품으로 판매한다. 이 불필요한 과정을 왜 거치는 걸까? 애초에 개념이 중요하고, 결국 결과물이 기념품이라면, 건물은 생략하자.

 

  1. 이 발상의 배경엔 아무리 계산을 두드려봐도 #수지타산이 도저히 맞지 않는 이 시대의 건축적 강박관념, 즉, “건물이 지어지고 경험할 수 있어야만 타당하다”라는 고집에 대한 반항으로부터 비롯되었다. 정녕 건물을 직접 짓고 소비할 수 있는 사람이 진짜 몇이나 될까? 주위에 수많은 이들에게 “나 돈 많이 벌면 내 집 지어줘!”라는 얘기를 벌써 수십 번 들었는데, 실제로 부탁한 사람은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는다… 적어도 이전 세대의 건축가들의 초창기 시절을 돌이켜보면, 부모님의 집이라도 먼저 지으면서 자신의 건축세계를 펼쳐 나갔는데, 우리들의 부모님은 은퇴 후 치킨집에 투자하시느라 아직 전세로 살고 계셔서 그럴 여유는 없을 듯. 천문학적인 시간, 노동력, 비용이 들어가는 건물은 극소수만이 범접할 수 있는 매개체로 변질돼버렸다. 그렇다면 이 고전적 고집에서 탈피하는 것은 마땅하다.

  

  1. 기원전 1세기경 건축에 대한 개념을 처음 정의한 비트리비우스는(Vitruvius), #견고함, #유용함, #즐거움이라는 3대 요소로 건축의 본질을 정의했다. 그의 정의에서도 건물에 대한 집착보다 지향해야 되는 가치로 여겨진다. 그렇다면 망고도, 효자손도 견고하고, 유용하고, 즐거운 합당한 건축물이라고 주장하는 바이다.

 

  1. 애초에 건축적 개념을 건물로만 단정 짓기엔 매우 제한적이다. 르코르뷔제(Le Corbusier)의 거대한 세계관을 그의 글, 그림, 가구, 도면, 도시계획들은 배제한 체, 그가 실제로 완공한 건물만으로만 평가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건물을 전혀 짓지 않은 슈퍼스튜디오(SUPERSTUDIO)나 아키줌(ARCHIZOOM)같은 건축가들은 콜라주, 잡지, 만화, 쿠션, 재떨이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건축적 개념들을 설파했다. 그들은 실체 없는 “종이 건축”(paper architecture)라고 조롱 당했지만, 그들의 개념은 웬만한 건물보다 더 파급적인 영향을 주었다. 별 볼일 없어 보이는 재떨이 하나라도 그들에겐 자신들의 거대한 건축적 세계관을 함축하는 물체, 즉, “기념품”이었기 때문이다.

 

  1. “21세기의 잡동사니”라고 부를 수 있는 기념품은 웅장하고 영원할 것 같은 건물에 비해 가볍고, 대량생산되고, 소모적이며, 솔직히 하찮다. 그러나 건물은 경험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가 매우 제약적인 것에 반면, 기념품은 시공을 초월하며 쉽게 전파되는 “밈”적 도구이다. 심지어 동두천의 아무개 카페에도 에펠탑이 있다. 끊임없는 복제와 살포를 통한 피할 수 없는 주입식 노출 효과를 지닌 기념품의 속성은 마치 거대한 건물의 존재감과 동일한 몰입감과 비슷하지 않을까?

 

  1. 건축물이 건물을 넘어선 개념만으로도 존재한다는 이 논리 선상의 끝에서, 당신은 얼마나 가상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는가? 이 전시는 궁극적으로 건축을 실물이 아닌, 개념으로 존재하는 가상의 세계관을 실질적으로 수용할 수 있느냐에 대한 도전적 실험이다. 이미 실체와 허상이 구분하기 의미 없어진 다중 현실의 세상 속, 건축물의 경계를 어디까지 수용하고 소비할 수 있는가? 건물이 아닌 도면집을 소비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티셔츠는? 양말은? 망고는? CM송은? 영수증은? 허위매물은?

 

 

<건축적 소비에 대한 실험>

 

1. 난이도 하. #하이퍼상술 티셔츠 (SOUVENIR T_SHIRT)

 

전시 오프닝을 기원하며 좌판에 놓여진 제품 중 유일하게 직접 실물을 가져갈 수 있는 제품입니다.

  1. 티셔츠의 가격은 스페셜 할인으로 원가 300,000원에서 80프로 할인된 45,000원으로 판매 중이며, 갯수는 총 100개의 한정품으로 판매합니다. 단, 재고의 반은 공식적 “짭”이고, 반은 공식적 “찐”이며, 랜덤으로 배포됩니다.

  2. 티셔츠 대신 내역 영수증을 별도로 10,000원에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영수증은 본인이 구매했다는 사실증명을 스탬프로 낙인됩니다. 영수증도 마찬가지로 100장의 한정판매를 진행합니다.

  3. 실물을 선택할 시에는, 영수증을 받아갈 수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영수증을 구입하면 티셔츠는 받아갈 수 없습니다.

 

2. 난이도 중. 좌판 내역 영수증  (VISITOR’S RECEIPT)

 

  1. 가상의 건축적 소비를 예행해봅시다. 좌판에 놓여진 물품들을 자유롭게 집어보고 살펴보세요.

  2. 테이블 위에 놓여진 영수증이 본인이 탐나는 물체를 원하는 만큼 정하세요.

  3. “THE PURE FLEX” 를 정할 경우에는 그 항목 하나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영수증의 가격은 10,000원입니다. 

  5. 축하합니다! 이제 당신은 선택한 품목을 구입한거나 마찬가지입니다. 자랑스럽게 영수증을 소지하세요!

 

3. 난이도 상. 더 창덕 아파트 초기 로얄층 분양권 (PURCHASE AGREEMENT)

 

전시 오프닝을 기원하며 하이퍼스팬드럴의 차기 프로젝트인 더 창덕의 로얄층을 초기 분양합니다.

더 창덕은 실거주로 사용되지 않는 서울 한복판의 노른자위 땅을 개발해 진행하는 초특급 주거 프로젝트입니다.

 

  1. 분양권의 실존 감정 판매가는 500억원입니다.

  2. 전시에서 판매되는 분양권의 가격은 10,000원입니다.

  3. 허위매물일 수 있습니다.

  4. 축하합니다! 서류상으로는 당신은 이제 더 창덕궁의 입주예정자 입니다.

bottom of page